반응형
수막자극징후( meningeal irritation sign )는 수막염 이나 거미막하출혈과 같은 질환에서 흔히 나타나는데 수막이 자극 되 어 생기는 증상이다 . 염증이나 출혈로 과도하게 예민해진 수막 ( meninges )과 척수신경 ( spinal nerve )에 긴장 을 유발시켜 이의 반응을 보는 것이다. 대표적으로 경부 경직 ( neck stiffness ) 검사, Kernig 징후, 브루진스키징후 ( Brudzinski sign )가 있다.
 
3.7.1 경부경직검사
환자가 목에 힘을 뺀 상태에서 검사자가 한 손을 환자의 머리 밑에 넣어 턱이 가슴에 닿을 정도로 고개를 최대한 굽힌다. 이때 통증을 동반한 목 근육의 경직이 있는지, 굽힘운동에 제한이 있는지 관찰한다. 수막자극의 초기에 주로 나타나며 심한 경우에는 양 옆면으로 굽힐 경우에도 나타난다. 환자가 긴장하여 목에 힘을 주고 있거나 경추 질환에 의한 통증이 있는 경우에도 경직이 나타나므로 이를 구별 하여야 한다 .

 

3.7.2 Kernig 징후
누워있는 환자의 한쪽 다리의 무릎과 고관절을 동시에 구부리면서 들어 올린 후 고관절을 굽힌 상태에서 무릎 관절을 편다.
 
3.7.3 브루진스키징후
이로 인해 통증이 발생되거나 저항이 나타나는지, 무릎이 완전히 펴지지 않는지 확인한다. 환자가 무릎을 곧게 펴고 눕게 한 후에 검사자의 한 손으로 환자의 가슴을 가볍게 누르면서 다른 손을 피험자의 머리 밑에 넣어 목을 굽힌다. 이로 인해 양쪽 다리의 고관절이나 무릎관절 이 굽혀지는 징후가 나타나는지 확인한다.



반응형

'신경학적진찰 > 신경학적진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자율신경계검사  (0) 2024.09.08
소뇌기능검사와 보행검사  (0) 2024.09.07
반사기능검사  (2) 2024.09.07
감각기능검사  (1) 2024.09.06
운동기능검사  (0) 2024.09.06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