뇌신경 핵 에는 각각 운동 기둥 ( GSE , GVE , SVE )과 감각 기둥 ( GSA , SSA , GVA , SVA ) 이 존재한다. 일반 몸 운동 ( GSE ) 은 눈과 혀의 움직임, 일반 내장 운동 ( GVE ) 은 머리, 가슴과 복부 장기의 부교감 신경 지배, 특별 내장 운동 ( SVE ) 은 저작근, 얼굴 표정근, 중이 와 인두, 후두의 근육, 흉쇄유돌근 ( sternocleidomastoid muscle , SCM )과 등세모근
( trapezius muscle )의 운동을 지배한다. 일반 몸 감각 ( GSA ) 은 얼굴과 머리의 일반 감각, 일반 내장 감각 ( GVA ) 은 심장과 허파, 소화기의 감각, 특별몸감각 ( SSA ) 은 후각, 시각, 청각, 전정감각, 특별내장감각 ( SVA ) 은 미각과 후각에 관여한다. 뇌신경은 전부 12 방인데, 제 1, 2 뇌신경을 제외한 나머지는 뇌줄기에서 나온다. 제 1, 2 뇌신경은 순수감각신경이고, 제 3, 4, 6, 11, 12 뇌신경은 순수운동신경이다. 그 외의 제 5,7,8, 9, 10 뇌신경은 감각과 운동의 혼합신경이다.
4.2.1 후각신경 ( 제 1 뇌신경 )
냄새를 인식하는 기능을 한다. 코속에 있는 후각상피세포의 축삭이 모여 후각신경을 이루어 체판 ( cribriform plate )을 통과하여 후각망을 ( olfactory bulb )로 간다. 후각망울에 있는 승모 세포 ( mitral cell )의 축삭은 후각로가 되어 후각피질인 측두엽 피질의 조롱박영역 ( piriform area )을 비롯하여 편도해, 중격해 ( septal nucleus ), 시상하부로 연결된다.
4.2.2 시신경 ( 제 2 뇌신경 )
시각에 관여한다. 시신경은 시신경관 ( optic canal ) 을 통해 안와 ( orbit ) 을 벗어난 후 반대쪽 시신경과 만나 시신경교차 ( op tic chiasma ) 및 시각로를 형성한다. 황반 ( macula ) 의 코쪽 ( 안 쪽 ) 에서 시작된 신경섬유는 시신경교차에서 교차하여 반대쪽 시각로로 가고, 황반의 귀쪽 ( 가쪽 ) 에서 온 섬유는 같은쪽 시각 로로 이어진다. 시각로 섬유의 약 80 % 는 대뇌다리 주위를 돌아 외측무릎체로 투사되며 외측무릎체의 신경세포의 축삭은 시각 부챗살 ( optic radiation ) 을 형성하면서 속섬유막의 렌즈핵뒤부 분 ( retrolenticular part ) 을 통과하여 시각피질 ( visual cortex, BA 17 ) 로 투사된다. 시각로 섬유의 20 % 는 중뇌의 위둔덕으로 주행하여 동공빛반사 ( pupillary light reflex ) 에 관여한다.
4.2.3 눈돌림신경 ( 제 3 뇌신경 )
운동신경으로, 외직근 ( lateral rectus muscle ) 과 상사근 ( superior oblique muscle ) 을 제외한 외안근, 눈꺼풀올림근 ( levator palpebrae muscle ) 및 동공수축근 ( pupil constrictor muscle ) 을 지배한다. 눈돌림신경핵에는 주운동신경핵과 부부 교감신경핵 ( accessory parasympathetic nucleus : Edinger - Westphal nucleus, 에딩거 - 베스트팔핵 ) 이 있다. 주운동신경 핵은 위둔덕 수준에서 수도관주위회질의 앞에 위치하고, 대뇌 피질, 아래둔덕, 안쪽세로다발에서 입력신호를 받으며, 상사근 과 외직근을 제외한 모든 외안근을 지배한다. 에딩거 - 베스트랄 핵은 주운동신경핵 뒤에 있으며, 덮개앞핵 [ 직접빛만사 ( direct light reflex ) 및 공감빛반사 ( consensual light reflex ) ] 과 피질 [ 조절동 - 공반사 ( accommodation pupillary reflex ) ] 로부터 신 호를 받는다. 눈돌림신경섬유는 앞쪽으로 안쪽세로다발, 적핵 과 흑질을 지나, 중뇌의 대뇌다리사이오목으로 나간다. 이후 후 대뇌동맥과 상소뇌동맥 사이를 지나, 해면정맥동 ( cavernous sinus ) 과 상안와틈새 ( superior orbital fissure ) 를 통해 안와로 들어간다. 안와에서 눈돌림신경의 위 가지는 눈껴풀올림근과 상직근으로 가고, 아래 가지는 내직근, 하사근, 동공수축근, 섬 모체근 ( ciliary muscle ) 으로 간다. 눈꺼풀옵립근은 양쪽, 상직 근은 반대쪽, 그 외의 근육은 같은쪽 신경핵의 지배를 받는다.
4.2.4 도르래신경 ( 제 4 뇌신경 )
반대쪽의 상사근을 지배한다. 양쪽 대뇌피질에서 신호를 받 고, 위둔덕에서 덮개연수섬유 ( tectobulbar fiber ) 를 통해 시각 피질로부터 정보를 받는다. 또한 안쪽세로다발을 통해 제 3, 4, 6 뇌신경과 연결된다. 뇌신경 중 유일하게 뇌줄기의 뒤쪽에서 나 오는 신경이고, 도르래신경핵에서 기원하여 중심회질의 바깥을 돌아 반대쪽으로 교차한 뒤, 반대쪽 아래둔덕 아래로 나온다. 이후 중뇌의 바깥쪽으로 돌면서, 상소뇌동맥과 후대뇌동맥 사이를 지나 해면 정맥동 으로 주행 한다 . 해면 정맥동 을 지나 상안 와 틈새 를 통해 안와 내 로 들어간다 .
4.2.5 외전 신경 ( 제 6 뇌신경 )
같은쪽 외직근 을 지배 한다 . 양쪽 대뇌 피질 과 아래 둔덕 으로 부터 덮개 연수 섬유 ( 시각 피질 의 정보 를 받음 ) 를 받고 안쪽 세로 다발 을 통해 제 3 , 4 , 8 뇌신경 과 연결 된다 . 두개 내 에서 가장 긴 신경 이고 , 아래 교뇌 고랑 과 앞 가고 랑 의 위쪽 끝 부분 이 만나 는 부위 에서 시작 하여 , 앞쪽 으로 나비 뼈 ( sphenoid bone ) 의 경 사대 ( clivus ) 를 따라서 주행 한다 . 이후 말 안장 부분 에서 경막 을 뚫고 나온 뒤 후 침대 돌기 ( posterior clinoid process ) 아래 로 주행 하다가 해면 정맥동 으로 들어가서 , 내 경동맥 과 삼차 신경 의 가지 ( branch ) 인 눈 신경 ( ophthalmic nerve ) 사이 에 위치하고 상안와 틈새 를 통해 안와 내로 들어간다 .
4.2.6 삼차 신경 ( 제 5 뇌신경 )
얼굴 과 입 , 코 의 점막 의 감각 과 씹기 에 관여 하는 깨 물근 ( masseter muscle ) , 날개 근 ( pterygoid muscle ) , 측두근 ( temporalis muscle ) 외에 고막긴장근 ( tensor tympani muscle ), 입천장올림근 ( tensor veli palatini muscle ), 턱목뿔근 ( mylo hyoid ), 앞쪽두힘살근 ( an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) 을 지배한다. 순수감각신경인 눈신경 ( ophthalmic nerve ), 상악 신경 ( maxillary nerve ) 과 혼합신경인 하악신경 ( mandibular nerve ) 으로 분지된다. ( 1 ) 운동신경은 삼차신경 절 ( gasserian ganglion ) 의 아래쪽을 지나 타원구멍 ( foramen ovale ) 을 통해 두개외로 나온 뒤, 감각신경과 함께 하악신경을 형성한다. ( 2 ) 감각을 담당하는 눈신경은 상안와틈새, 상악신경은 원형구멍( foramen rotundum ) , 하악 신경 은 타원 구멍 을 통해 두개 내로 들어가서 삼차 신경절 을 지나 교뇌 로 들어간다 . 뇌줄기 에서 가 벼운 촉각 과 식별 촉각 을 담당 하는 섬유 는 교뇌 의 주요 감각 해 ( principal sensory nucleus ) 으로 , 저작근 의 고유 감각 을 담당 하는 신경 섬유 는 중간 뇌핵 ( mesencephalic nucleus ) 으로 투사 된다 . 또한 통증 , 온도 , 압력 같은 감각 을 전달 하는 신경 섬유 는 삼차 신경 척수 로 를 통하여 삼차 척수 신경핵 으로 연결 되며 , 삼차 척수 신경핵 에서 나온 신경 섬유 는 반대쪽 배쪽 삼차 시상 로 ( ven- tral trigeminothalamic tract ) 를 통해 시상 으로 투사 된다 .
4.2.7 얼굴신경 ( 제 7 뇌신경 )
얼굴표정근육의 운동과 눈물, 침의 분비, 고막보호, 혀의 맛 감각에 관여한다. 운동핵은 교뇌의 덮개부분에 위치하고, 운동 신경섬유는 외전신경핵의 바깥쪽을 돌아 제 4 뇌실바닥에서 얼 굴둔덕 ( facial colliculus ) 을 형성한다. 이후 배가쪽으로 주행하 여 교뇌연수이음 - 부 ( pontomedullary junction ) 로 나온 뒤 달 팽이신경과 함께 내이도 ( internal acoustic meatus ) 로 들어가 며, 내이도에서 달팽이신경과 분리되어 얼굴굴 ( facial canal ) 로 들어간다. 내이도 내부에 있는 무릎신경절의 수준에서 등골근 ( stapedius muscle ) 과 고실끈신 경 ( chorda tympani ) 으로 가 는 가지를 내고, 내려가서 붓꼭지구명 ( stylornastoid foramen ) 을 통과한 뒤, 얼굴표정근, 뒤쪽두힘 살근 ( pos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) 과 넓은목근 ( platysma muscle ) 을 지배한다. 얼굴 윗부분의 근육을 지배하는 운동신경핵은 양쪽의 대뇌피질 에서, 그리고 아랫부분을 지배하는 운동신경핵은 반대쪽 피질 에서 신호를 받아 자발적인 얼굴표정을 조절한다. 감각핵은 혀 의 앞 2 / 3 와 입안, 입천장의 맛감각을 담당하게 된다. 이는 혀 신경 ( lingual nerve ), 고실끈신경과 얼굴신경을 통해 무릎신경 절을 통과한 뒤, 중간신경 ( intermediate nerve ) 을 지나 고립로 핵으로 투사된다. 부교감신경핵에는 위침생핵 ( superior saliva tory nucleus ) 과 눈물샘핵이 있다. 위침생해은 큰얕은바위신 경 ( greater superficial petrosal nerve ) 에서 날개입천장신경절 ( pterygopalatine ganglion ) 과 시냅스한 뒤, 신경절후신경섬유 를 통해, 눈물샘과 입천장, 비강, 후두의 점액샘으로 들어간다. 고실끈신경을 통해 하악하신경 절 ( submandibular ganglion ) 에 서 시냅스한 뒤, 신경절후섬유는 혀밑샘 ( sublingual gland ) 과 하악하샘 ( submandibular gland ) 으로 들어간다. 눈물샘핵은 시상하부에 의해 감정과 관련된 정보를 받는다. 또한 각막과 결 막의 자극시 삼차신경의 감각핵에서 오는 신호에 의하여 눈물 을 분비한다.
4.2.8 전정달팽이신경 ( 제 8 뇌신경 )
전정기능 ( vestibular function ) 과 청각에 관여한다. ( 1 ) 전 정신경 : 전정신경은 내이도의 바깥쪽에 위치한 전정신경절의 축삭으로 이루어진다. 전정신경은 타원낭 ( utricle ) 과 소낭 ( sac - cule ) 에서 오는 머리의 선운동 ( linear movement ) 에 대한 감각 정보와, 반고리관 ( semicircular duct ) 에서 오는 머리의 각운동 ( angular movement ) 에 대한 감각정보를 받으며 달팽이신경 과 함께 내이도를 주행한 후 교뇌로 들어가서 전정핵으로 투사 된다. 전정핵에서 나오는 전정척수로는 외부자극에 대한 사지 와 몸통의 반사운동을 관장한다. 또한 전정핵에서 나온 신경섬유는 하소뇌다리를 통해 소뇌로 연결되어 체위 적응에 대한 근 긴장도를 조절하며, 안쪽세로다발을 통해 머리의 각운동과 안 구의 운동을 연동시키는 전정안구반사 ( vestibuloocular reflex, VOR ) 를 담당한다. ( 2 ) 달팽이신경 : 달팽이관 ( cochlear duct ) 의 Corti 기관 ( organ of Corti ) 에 존재하는 털세포의 청각신 호를 받으며, 달행이신경을 통해, 교뇌의 하소뇌다리에 위치한 앞, 등록달팽이핵으로 전달된다. 달팽이핵의 축삭은 마름섬유 체 ( trapezoid body ) 를 통해 교차한 후 올라가는 외측섬유띠를 형성하여 중뇌의 아래둔덕으로 투사되며, 안쪽무릎신경절을 경 유하여 속섬유막의 청각부챗살 ( acoustic radiation ) 을 통해 청 각피질 ( auditory cortex ) 로 투사된다. 청각신호는 양쪽 대뇌피 질로 ( 반대쪽으로 더 많이 ) 전달되므로, 한쪽 중추성 손상은 청 각소실을 초래하지 않는다.
4.2.9 혀인두신경 ( 제 9 뇌신경 )
인두의 일반감각과 혀의 미각, 침 분비, 자율신경반사에 관 여한다. 위쪽 연수의 올리브와 하소뇌다리 사이, 미주신경의 위쪽에 위치하고, 경정맥구멍 ( jugular foramen ) 을 통해 밖으 로 나간다. 경정맥구멍 근처에 위와 아래감각신경절이 있는 데, 아래신경절에서 고실신경 ( tympanic nerve ) 과 귀측두신경 ( auriculotemporal nerve ) 으로 이어지는 가지가 나온다. ( 1 ) 운동신경섬유는 연수의 망상체에 있는 모호핵의 윗부분에서 기 원한다. 대뇌피질에서 구심섬유를 받으며 붓인두근 ( stylopha ryngeus muscle ) 을 지배한다. ( 2 ) 인두 점액막과 혀 뒤 1 / 3 에 서의 맛자극은 혀인두신경의 아래신경절을 통해 연수의 고립로 헥 ( nucleus solitarius ) 으로 전달된 뒤, 반대쪽으로 교차하여 시 상과 시상하부핵으로 올라가며, 이후 속섬유막과 대뇌부챗살을 통해 대뇌피질로 투사된다. 그 밖의 일반감각은 혀인두신경의 위신경절을 통하는데, 보통 삼차신경의 척수핵에서 끝난다. 경 동맥동 ( carotid sinus ) 에서 감지되는 혈압에 대한 감각도 혀인 두신경을 통해 고립로핵으로 전달된다. 고립로핵의 신호에 의 한 미주신경의 반응이 경동맥동반사이고, 이는 고립로핵과 등 쪽에 있는 미주신경의 등쪽운동핵이 상호 연결됨으로써 발생한 다. ( 3 ) 아래침샘핵에서 나온 부교감신경섬유는 고실신경 ( tym panic nerve, nerve of Jacobson ) 과 고실신경총 ( tympanic plexus ) 을 거친 뒤, 작은바위신 경 ( lesser petrosal nerve ) 을 통 해 귀신경 절 ( otic ganglion ) 로 전달된다. 귀신경절의 신경절후 섬유는 귀측두신경을 통해 귀밑샘을 지배한다.
4.2.10 미주신경 ( 제 10 뇌신경 )
혀 뒤쪽의 미각, 인후두근과 내부장기의 근육운동, 자율신경반사에 관여한다. 주운동책 ( principal motor nucleus ) 은 연 수의 망상체의 등록에 있고 모호해의 일부를 형성한다. 주로 대 뇌피질로부터 성유를 받아 인두수축근 ( pharyngeal constrictor muscle ) 과 후두내재근 ( laryngeal internal muscle ) 을 지배한 다. 감각핵은 고립로핵의 윗부분으로 맛감각을 담당한다. 맛자 극은 미주신경의 아래신경절에 위치한 신경세포를 통해 연수의 고립로핵에서 시냅스한 후 반대쪽으로 교차하여, 시상의 배쪽 해과 시상하부핵으로 올라가고, 속섬유막과 대뇌부챗살을 거쳐 중심뒤이랑으로 전달된다. 맛감각을 제외한 귓바퀴와 외이도 ( external acoustic meatus ) 및 고막의 일반갑각은 위신경절을 통해 전달되어, 삼차신경척수핵으로 투사한다. 부교감신경핵인 등록운동핵은 제 4 뇌실바닥과 허밑신경핵 사이에 위치한다. 등 쪽운동핵은 시상하부에서 하행자율신경경경로와 혀인두신경으로 부터 입력신호를 받으며 기관, 기관지, 심장, 식도, 위, 소장, 대 장 ( 횡단결장의 2 / 3 까지 ) 의 평활근과 분비샘을 지배한다.
4.2.11 부신경 ( 제 11 뇌신경, 척추부신경 )
뇌신경뿌리 ( cranial root ) 와 척수뿌리 ( spinal root ) 로 구분 되는 순수운동신경으로, 흉쇄유돌근과 상부 등세모근을 통한 목의 운동이 주 기능이고 입천장근 ( palatal muscle ) 일부와 후 두내재근도 지배한다. 뇌신경뿌리는 양쪽 대뇌피질로부터 구 심성유를 받는다. 배안쪽 연수의 올리브와 하소뇌다리 사이에 서 시작하여 척수뿌리와 합쳐져서 주행하며 경정맥구멍을 통해 두개강을 나온 후 다시 척수뿌리와 분리된다. 뇌신경뿌리는 미 주신경의 아래신경절 아래에서 미주신경과 합쳐져서 입천장을 림근 ( 제 5 뇌신경 ) 을 제외한 입천장근과 후두내재근을 지배한다. 척수뿌리는 제 1 ~ 5 경부척수에서 전각의 가쪽에 있는 척수해으 로 구성되어, 척수의 가쪽백색기둥을 통해 나온다. 이후 척수뿌 리와 치아인대 ( dentate ligament ) 사이로 올라가서, 큰구명을 통해 두개내로 들어간다. 두개내에서 뇌신경뿌리와 합쳐져서 주행하다가, 경정맥구명을 통해 두개강을 나오며, 여기에서 다 시 뇌신경뿌리와 척수뿌리로 분리된다. 척수뿌리는 흉쇄유돌근 과 상부 등세모근을 지배한다.
4.2.12 허밑신경 ( 제 12 뇌신경 )
혀의 운동신경이다. 반대쪽 피질핵섬유에 의해 조절되는 턱 끝혀근 ( genioglossus muscle ) 을 제외하고 모두 양쪽 피질로부 터 피질핵섬유를 받는다. 혀밑신경은 연수의 제 4 뇌실 맨아래 바닥의 중간선에 있는 핵에서 시작하고 앞쪽으로 주행하여 피 라미드와 아래올리브핵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앞가록고량을 통 해 나간다. 이후 혀밑신경관을 통하여 두개강을 나간다. 혀의 입천장허근 ( palatoglossus ) 을 제외한 모든 내재근과 외재근 즉, 붓혀근 ( styloglossus ), 혀밑근 ( hypoglossus ), 턱끝혀근을 지배 하여 혀의 운동과 모양을 조절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