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원하는 운동을 목적에 맞게 정확히 하기 위해서는 운동에 관여하는 여러 근육이 서로 협력하여 조화롭게 수축하고, 이완 되어야 한다. 소뇌는 신체가 움직일 때 외부에서 전달되는 감각 정보를 분석하여 목적에 맞게 운동을 하게 한다. 소뇌로 들어오 는 감각정보는 주로 이끼섬유 ( mossy fiber ) 와 오름섬유 ( dimb ing fiber ) 를 통해 소뇌피질에 있는 푸르킨에 ( Purkinic ) 세포로 전달된다. 이끼섬유는 주로 말초에서 척수소뇌로 ( spinocerebellar tract ) 를 통해 들어오는 몸감각신호를 받는다. 척수소뇌로를 통 해 전달되는 몸감각은 주로 근방추 ( muscle spindle ) 와 힘줄 ( tendon ) 에서 기원하는 고유감각 ( proprioception ) 에 대한 정 보이다. 전운동피질영역, 두정엽피질에서 들어오는 시각과 몸감 각에 관련된 신호는 교뇌에 있는 연결신경세포에 시냅스한 후 이끼섬유를 통해 푸르킨에세포로 전달되는데, 이 신경로를 피질 교뇌소뇌경로 ( corticopontocerebellar pathway ) 라고 한다. 소 뇌피질로 들어온 이끼섬유는 과립세포와 연결되고 과립세포는 평행섬유를 통하여 푸르킨에세포를 흥분시킨다. 하나의 푸르킨 예세포는 약 6,000 ~ 175,000 개의 평행섬유와 연결되어 있다. 오름섬유는 연수에 있는 아래올리브렉 ( inferior olivary nucleus ) 에서 들어오는 신호를 푸르킨에세포로 전달하는데 오 름섬유 한 개는 한 개의 푸르킨에세포와 연결되어 있다. 운동 중 발생하는 부적절한 감각신호에 아래올리브핵에 있는 신경세 포들이 반응하는 것으로 보아 소뇌는 아래올리브핵에서 들어오는 부적절한 신호를 받아들여 운동에 방해가 되는 감각정보를 재처리한다 ( sensory filtering function ). 푸르킨에세포는 이끼섬유에서 들어오는 감각신호와 오름섬 유에서 들어오는 부적절한 감각신호를 운동수행에 필요한 신호 로 변환시킨다. 푸르킨에세포는 치아핵 ( dentate nucleus ), 사이 위치핵 ( interpositus nucleus ) 인 마개혁 ( emboliform nucleus ) 과 등근핵 ( globose nucleus ), 꼭지핵 ( fastigial nucleus ) 같은 심부소뇌해 ( deep cerebellar nucleus ) 으로 억제신호를 보낸다. 심부소뇌핵으로 전달된 정보는 적핵 ( red nucleus ) 과 반대쪽 시 상을 경유하여 운동피질의 여러 부위로 전달된다. 이 신경로를 치아시상피질경로 ( dentatothalamocortical pathway ) 라고 부 른다. 치아핵에서 나온 일부 원심섬유 ( centrifugal fiber ) 는 적 핵을 거쳐 중심뒤판로 ( central tegmental tract ) 를 통하여 아래 올리브핵으로 연결된다. 아래올리브핵은 오름섬유를 통하여 푸 르킨에세포로 다시 흥분신호를 전달하여 치아핵 - 적핵 - 아래올 리브핵으로 구성된 되먹임고리 ( feedback loop ) 를 이룬다. 이 순환고리를 Guillain - Mollaret 삼각이라고 한다. 이 고리는 부 적절한 운동신호를 감지하여 다시 소뇌로 전달하고 적절한 신 호로 재조정하는 역할을 한다. 심부소뇌핵으로 전달된 정보의 일부는 반대쪽 망상척수로 혹은 동측의 전정척수로를 통하여 척수로 전달된다. 소뇌는 말초에서 들어온 감각정보를 통합하 여 운동 중 관절의 위치, 속도, 가속도 등을 결정함으로써 운동 에 관여하는 여러 근육들이 효율적이고 조화롭게 수축하고 이 완되도록 한다.
소뇌는 해부와 조직학적 특징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나 눈다. 타래결절업 ( flocculonodular lobe ) 은 뇌줄기의 전정핵과 연결되고, 앞입 ( anterior lobe ) 은 척수와 연결되며, 뒤엽 ( pos terior lobe ) 은 교뇌의 연결신경세포를 통하여 대뇌피질과 연 결된다. 소뇌를 구심섬유 ( centripetal fiber ) 와 원 심섬유가 분포하는 영역에 따라 수직적으로 벌레영역 ( vermian zone ), 벌레주변영역 ( paravermian zone ), 가쪽영역 ( lateral zone ) 의 세 부분으로 나누기도 한다. 벌레영역의 소뇌피질은 주로 전정핵으로부터 입력신호를 받는다. 중심영역 ( central zone ) 은 다시 꼭지핵 ( fastigial nucleus ) 을 통하여 양 측 전정핵과 망상핵으로 연결되고 전정척수로와 안쪽세로다발 ( medial longitudinal fasciculus, MLF ) 을 통해 척수로 전달된 다. 벌레영역은 머리, 눈, 몸의 위치를 유지시키고 신체의 평형을 조절한다. 벌레주변영역은 주로 척수소뇌로와 연결되어 있 다. 가쪽영역은 대부분의 소뇌반구에 해당하는 부위로 대뇌운 동피질과 되먹임고리를 이룬다. 가쪽영역은 피질교뇌소뇌경로 를 통해 일차운동피질, 전전두엽피질, 전운동피질영역, 뒤쪽 두정엽피질에서 정보를 받고 소뇌시상경로를 통해 다시 일차운동피질, 전운동피질영역, 전두엽피질 등으로 정보를 전달한다. 기저핵의 GPi / SNpr 에서 나오는 원심섬유는 시 상의 배가쪽신경핵의 입부분으로 연결되고 소뇌의 치아핵에서 나오는 원심섬유 ( efferent fiber ) 는 배가쪽신경핵의 꼬리부분과 배뒤가쪽신경핵 ( ventroposteriorlateral nucleus ) 의 입부분으 로 투사되기 때문에 서로 중복되지 않는다. 소뇌 혹은 소뇌와 연결된 순환고리가 손상되면 운동에 필 요한 외부의 시각 또는 몸감각을 통합하지 못하기 때문에 결과 적으로 운동이 매끄럽지 못하고 아둔하게 된다 ( clumsiness ). 또한 근육 상호 간 협동에 장애가 생겨, 복잡하고 조화로운 운 동을 수행하지 못한다. 이러한 현상을 협동장애 ( dyssynergia, asynergia ) 라고 한다. 반복적이거나 연속적으로 움직일 때에 도 근수축의 속도나 시간을 조정하는 데 장애가 생겨 불규칙한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런 현상을 상반운동반복장애 ( dysdiado - chokinesia ) 라 한다. 또한 근긴장도의 저하, 안진 ( nystagmus ), 의도떨림 ( intentional tremor ), 단속성말투 ( scanning speech ) 도 나타난다. 소뇌의 벌레영역이 손상되면 평형감각에 이상이 생겨 몸통실조증 ( truncal ataxia ) 이 나타난다.
반응형
반응형

운동을 원활히 하려면 그 운동에 관여하는 작용근 ( agonist ) 이 활성화되고 대항근 ( antagonist ) 은 억제되어야 한다. 이 기전 은 운동을 하는 동안 계속 유지되어야 하고 다음 운동을 시작하 려면 다시 그 운동에 맞는 작용근과 대항근이 선택되어야 한다. 기저핵은 전두업피질의 각 운동영역과 순환고리를 이루어, 운 동을 하는 데 필요한 작용근과 대항근을 원활하게 선택하고 조 절하는 역할을 한다. 즉 운동피 질에서 시작된 운동정보가 기저핵으로 유입되어 원하는 운동은 촉진하면서 그 운동을 방해하는 운동은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. 기저핵은 꼬리핵 ( caudate nucleus ), 조가비핵 ( putamen ), 창백 핵 ( globus pallidus ), 시상밑핵 ( subthalamic nucleus ) 으 로 이루어져 있다. 전두엽피질 - 기저핵회로는 시작되는 운동피 질에 따라 등가쪽전전두엽회로, 안와전두엽회로, 앞띠다발회로, 눈돌림회로 ( oculomotor circuit )와 운동회로 ( motor circuit )로 나뉜다. 각 회로는 줄무늬체 ( corpus striatum )와 창백 핵, 시상 ( thalamus )의 특정한 부위로 투사된다 ( parallel segregation ). 꼬리핵과 조가비핵은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이 유사하기 때 문에 합쳐서 줄무늬체 ( striatum )라고 부른다. 줄무늬체는 주로 전두엽의 보조운동영역, 전운동피질영역, 일차운동피질에 서 운동정보를 받아 내부 창백 핵 ( globus pallidus pars interna, GPi )과 흑질망상부 ( substantia nigra pars reticulata, SNpr )를 통해 시상의 배가쪽신경핵 ( VL )으로 신호를 전달하고 시상의 배가쪽신경핵은 다시 운동피질로 신호를 전달하여 전두엽피질 - 기저핵회로를 이룬다. 줄무늬체의 운동정보는 직접 GPi / SNpr로 전달되거나 외부창백핵 ( globus pallidus pars externa, GPe )과 시상밑핵을 거쳐 GPi / SNpr로 전달된다. 운 동피질로부터 흥분신호를 받은 줄무늬체는 직접경로를 통해 GPi / SNpr의 활성도를 억제하고 간접경로를 통하여 GPi / SNpr을 흥분시킨다. 줄무늬체가 GPi / SNpr 신경세포를 억제하면 시상의 신경세포에 대한 억제력이 감소하여 시상의 신경세포 가 활성화되므로 운동피질의 활성도가 증가된다. 이와는 반대로 시상밑핵이 GPi / SNpr 신경세포를 흥분시키면 시상의 신경 세포가 억제되어 운동피질의 활성도가 감소한다. 기저핵은 직 접경로를 통해 운동에 필요한 작용근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고, 간접경로를 통해 운동에 방해가 되는 대항근을 억제함으로 써 운동을 원활하게 한다. 시상밑핵에서 GPi / SNpr로 들어오는 흥분신호는 전달속도가 빠르고 GPi / SNpr를 광범위하게 흥분시키나, 줄무늬체에서 들어오는 억제신호는 전달속도가 느리고 GPi / SNpr의 국소 부분만 억제한다. 세포내 미세기록 ( microrecording )을 이용하여 운동을 시 작할 때 활성도를 측정해 보면 조가비핵의 신경세포가 보조운 동영역과 일차운동피질에 있는 신경세포보다 나중에 활성화된 다. 따라서 기저핵은 운동의 준비와 계획에는 관여하지 않고 운동실행에만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한다. 운동피질에서 줄무늬체로 오는 신호는 흑질치밀부 ( sub stantia nigra pars compacta, SNpc )로부터 줄무늬체로 분비된 도파민 ( dopamine )에 의해 활성도가 조절된다. SNpc의 축 삭종말에서 분비된 도파민은 줄무늬체 신경세포에 있는 D 1 수 용체와 결합하여 GPi / SNpr로 투사되는 억제신호를 증가시키 고, D 2 수용체와 결합하여 GPe로 투사되는 억제신호를 감소 시 킨다. 이에 따라 GPe에서 시상밑핵으로 투사되는 억제신호가 더욱 증가되어 시상밑핵 신경세포의 활성도가 감소한다. 도파민의 이런 작용은 보상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운동은 강화하고, 보상이 없을 것으로 예측되는 운동은 억제하여 운동에 대한 학습 능력을 증강시킨다 ( reinforcement mechanism ). 동물이나 사람의 기저핵회로가 손상되면 작용근의 작용을 강화하지 못하고 대항근을 억제하지 못한다. 파킨슨병의 증상은 SNpc에 있는 도파민을 함유한 신경세포의 소실에 의한 기 저 핵회로의 기능이상 때문에 발생한다. 파킨슨병 환자에서는 원하는 운동에 필요한 정도로 작용근이 수축되지 않고, 대항근은 작용근과 동시에 수축 ( co · contraction ) 하기 때문에 운동속 도가 느려지고 운동폭은 작아진다. 일반적으로 파킨슨병 환자 들은 외부자극이 있을 때보다 내부자극에 의해 스스로 움직일 때 더 느리고, 단순한 운동보다 복잡하고 연속적인 운동을 할 때 장애가 더 심하다. 피라미드 외로 ( extrapyramidal tract ) 징후는 기저핵과 그와 관련된 신경회로에 문제가 생길 때 임상적으로 관찰되는 징후를 말한다. 운동완만 ( bradykinesia ), 경축 ( rigidity )과 근긴장이상 ( dystonia ), 떨림 ( tremor ), 무도증 ( chorea ) 등과 같은 불수의운동이 나타난다. 경축은 검사자가 일정한 힘으로 환 자의 이환된 팔다리를 잡아당기면 가해진 힘의 속도에 비례하지 않는 일정한 강도의 저항이 지속적으로 느껴지는 것을 말한다(lead-pipe phenomenon).

반응형

'신경해부와 생리 > 운동신경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4. 소뇌의 운동조절  (1) 2024.08.27
2. 일차운동피질 이외의 운동조절영역  (0) 2024.08.27
1. 일차운동피질  (0) 2024.08.27
반응형
인간은 내부 혹은 외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연속적이고 복 잡한 운동을 목적에 맞게 수행한다. 예를 들어 물을 마실 때, 우 선 컵에 물을 따르고 입에 가져간 다음 마셔야 하는데, 이와 같 은 연속적인 동작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먼저 운동순서를 설 정해야 하고, 다른 동작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다음 동작에 필 요한 운동정보들을 선택해서 미리 준비하여야 한다. 전운동피 질영역과 전전두엽피 질 ( prefrontal cortex ) 은 이러한 연속적 인 운동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통합하여 목적에 맞는 운동순 서를 계획하며 그런 정보를 일차운동피질로 전달한다. 전운동 피질영역은 일차운동피질의 앞쪽에 위치하는데 BA 6 에 해당한다. 전운동피질영역과 연결된 안쪽 면은 전 운동피질영역과는 구별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보조운동영역 ( supplementary motor area ) 이라고 부른다 ( 그림 2 - 3 B ). 근전 도 ( EMG ) 에 근수축이 일어나기 약 600 ~ 1,000 msec 전에 보 조운동영역에서 준비신호가 발생한다. 동물실험에서 일차운동 피질에 있는 피라미드세포는 근수축이 일어나기 약 60 msec 전에 활성화된다. 보조운동영역과 전운동피질영역은 단순한 동 작보다는 연속적이고 복잡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결정하고 준 비하는 데 관여한다. 보조운동영역이 손상되면 감각정보가 들어온 후에 시작되 는 연속운동보다는 스스로 움직이는 연속운동에 더 심한 장애 가 생긴다. 또한 기능 MRI 로 보조운동영역의 활성도를 측정하 면 감각자극에 반응하여 움직일 때보다 스스로 움직일 때 더 활 성화된다. 이와 대조적으로 전운동피질영역이 손상되면 시각, 촉각 같은 감각정보를 이용해야 하는 연속운동에 장애가 온다. 또한 기능 MRI 에서도 전운동피질영역은 감각자극이 주어진 상 태에서 움직일 때 더 활성화된다. 전운동피질영역은 보조운동 영역보다 뒤쪽 두정엽피질과 더 많이 연결되어 있다. 뒤쪽 두정 엽피질은 시각피질에서 유입되는 시각정보 중 운동수행에 필요 한 정보를 통합처리한다 ( visuomotor processing ). 뒤쪽 두정 엽피질에서 유입된 시각정보는 전운동피질영역에서 운동정보 로 바뀌어 일차운동피질로 전달된다. 전운동피질영역은 소뇌와 도 연결되어 있어 소뇌에서 처리하는 감각정보에 따라 운동을 준비하는 데 관여한다. 보조운동영역은 전운동피질영역보다 기 저핵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, 학습을 통하여 숙달된 운동 을 원만하게 수행하도록 한다.
전전두엽엽피질은 운동에 필요한 인지기능에 대한 정보 를 보조운동피질과 전운동피질영역으로 전달한다. 전전두엽피 질은 기능적으로 크게 등가쪽전전두엽피질 ( dorsolateral pre - frontal cortex, DLPFC ), 안와전두엽피질 ( orbitofrontal cor tex ), 앞띠다발피질의 세 부분으로 나눈다. 등가쪽전전두엽엽피질은 BA 9 와 BA 10 에 해당하고, 연속적이 고 복잡한 운동을 계획하거나 새로운 운동을 기억 ( working memory ) 하며, 목적에 맞게 전략을 수립하는 데 관여한다. 등 가쪽전전두엽피질이 손상되면 연속적인 운동순서를 계획하거 나 기억하지 못하므로 한 운동을 다음 운동으로 전환하지 못하 는 이상언행반복중 ( perseveration ) 이 나타난다. 안와전두엽피 질은 BA 10 과 BA 11 에 해당하고 변연계를 구성하는 측두엽피 질과 연결되어 있다. 안와전두엽피질이 손상되면 운동수행능 력은 보존되나 외부의 자극이나 내적 충동에 적절하게 대응하 지 못해 감정변화와 행동장애가 나타나는데 이에 따라 성격변화 등으로 인하여 운동을 완벽하게 수행하지 못하고 충동적으 로 행동하게 된다. 앞띠다발피 질은 BA 24 에 해당하고 전전두엽 피질의 내측, 보조운동영역의 앞쪽에 위치한다. 앞띠다발피질 은 측두엽의 내후각피질 ( entorhinal cortex ) 이나 해마와 연결 되어 있다. 앞띠다발피질은 주로 운동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감 정을 동기화한다. 앞띠다발피질이 손상되면 동물이나 사람은 전혀 움직이려 하지 않고 외부 자극에 대해 반응을 하지 않는 다. 이러한 증상을 무운동무언증 ( akinetic mutism ) 이라고 하 고 중상이 가벼운 경우는 의지상실 ( abulia ) 이라고 한다. 등가쪽 전전두엽피질, 안와전두엽피질, 앞띠다발피질은 배쪽줄무늬체 ( ventral striatum ), 배안쪽창백핵 ( ventromedial globus pal lidus ) 으로 연결되어 있고 시상의 앞핵 ( anterior nucleus ) 을 통 해 원래의 전전두엽피질로 다시 연결되는 폐쇄순환고리 ( closed loop ) 를 형성함으로써 전전두엽피질의 고유기능을 더욱 강화 시킨다.
반응형
반응형
일차운동피질 ( primary motor cortex ) 은 다른 대뇌피질, 기저핵 ( basal ganglia ), 소뇌로부터 전달된 운동정보들을 처리 해서 척수로 전달한다. 일차운동피질로부터 척수로 전달된 운 동정보는 해당 근육으로 전달되어 근수축을 일으켜 근력을 생 성시킴으로써 운동이 일어나게 한다. 일차운동피질은 전두엽의 중심앞이랑 ( precentral gyrus ) 에 위치하고 이곳은 BA 4 에 해당한다. 일차운동 피질의 신경세포들은 지배하는 신체부위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. 인두와 혀를 지배하는 신경세포들은 바깥쪽 가장 아래 부분에 위치하고, 그 위쪽으로는 얼굴, 손가락, 손, 팔, 허벅지, 다리를 지배하는 신경세포들이 위치한다. 하등동물들과 비 교했을 때 사람에서는 손과 얼굴을 지배하는 부위가 상대적으 로 넓은데 그것은 이 부분이 정교한 운동을 많이 하기 때문이다. 일차운동피질은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여섯 층으로 나누 는데 다섯 번째 층에 위치한 큰 피라미드세포 ( pyramidal cell, Betz cell ) 는 일차운동피질의 운동정보를 척수로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. Betz 세포에서 나온 직경이 굵고 전도속도 가 빠른 축삭 ( axon ) 은 피질척수로 ( corticospinal tract ) 를 이 루고 척수로 내려가 전각 ( anterior horn ) 에 위치한 알파운동신 경세포 ( alpha - motor neuron ) 와 단일시냅스를 하여 수축근의 활성을 촉진하고 ( monosynaptic facilitation ), 사이신경세포( interneuron ) 와 이중 으로 시냅스 를 이루어 이완근 의 활성 을 억제 한다 ( disynaptic inhibition ) . 일차 운동 피질 과 연결된 척수 의 운동 신경 세포 는 주로 팔다 리의 원위부 근육 과 연결 되어 있다 . 일차 운동 피질 을 자극 하면 한 근육 만 개별적 으로 수축 하지 않고 해당 되는 신체 부위 에 유 사한 기능 을 가지고 있는 근육 들이 집단적 으로 수축 한다 . 이것 은 동일한 신체 부위 에 작용 하는 근육 들을 지배 하는 일차 운동 피 질의 신경 세포 들 끼리는 유기적 으로 연결 되어 있음 을 시사 한다 . 피질 척수 로 의 축삭 은 대뇌 부챗살 ( corona radiata ) , 속 섬유 막 ( internal capsule ) , 중뇌 다리 ( peduncle of midbrain ) , 교 뇌 바닥 ( basis pontis ) 을 지나 연수 ( medulla ) 에서는 피라미드 ( pyramid ) 라는 구조 를 통과 하기 때문에 피질 척수 로 를 ' 피라미 드로 ( pyramidal tract ) ' 라고 부른다 . 연수 의 아랫 부분 에서 피질 척수 로 를 형성 하는 축삭 중 75 ~ 80 % 는 반대쪽 으로 교차 해서 외측 피질 척수 로 를 통해 반대쪽 척수 로 내려 가고 , 교차 하지 않 은 20 ~ 25 % 의 축삭 은 앞 피질 척수 로 를 통해 동측 척수 로 내려 간다. 일차 운동 피질 이외 의 운동 영역 에서도 피질 척수 로 를 통해 척수 로 운동 정보 를 전달 한다는 것이 밝혀 졌다 . 피라미드 를 통 과하 는 피질 척수 로 축삭 들 중 약 30 % 만이 일차 운동 피질 에서 기원 하는 축삭 이고 , 특히 Betz 세포 로부터 시작된 축삭 은 3.4 % 에 불과 하다 . 피질 척수 로 를 형성 하는 축삭 중 30 % 는 전 운동 피 질 영역 , 40 % 는 두정엽 피질 에서 기원 한다 . 전 운동 피질 영역 과 두정엽 피질 에서 기원 한 피질 척수 로 축삭 들은 Betz 세포 에서 기 원한 축삭 에 비해 직경 이 작고 전도 속도 가 느리다 . 전 운동 피질 과 두정엽 피질 에서 기원 한 피질 척수 로 축삭 은 척수 회 질의 사이 신경 세포 를 통해 알파 운동 신경 세포 와 간접적 으로 연결 되어 있 는데 , 척수 내 에서 이들 의 구체적인 역할 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.
피질망상척수로 ( corticoreticulospinal tract ), 피질덮개척수로 ( corticotectospinal tract ), 피질적핵척수로 ( corticorubro - spinal tract ), . 피질전정척수로 ( corticovestibulospinal tract ) 는 연수의 피라미드를 거치지 않고 척수로 내려간다. 피질망 상척수로는 일차운동피질과 전운동피질 ( premotor cortex ) 에 서 시작하여 양측의 망상책 ( reticular nucleus ) 으로 연결된다. 일차운동피질에서 나오는 섬유들은 전도속도가 빠르고 팔다리 끝쪽의 운동을 담당하는 반면, 전운동피질에서 나오는 섬유 들은 전도속도가 느리고 축근육 ( axial muscle ) 에 분포하는 망 상핵에 종지하는 것으로 보아 주로 몸의 체위를 유지시키는 작 용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. 피질덮개척수로는 일차운동 피질에서 시작하여 위둔덕 ( superior colliculus ) 과 중뇌망상체 ( mesenchephalic reticular formation ) 로 연결되어 머리와 눈 의 회전운동에 관여하고 주로 팔다리의 근위부근육 ( proximal muscle ) 에 작용한다. 피질적핵척수로는 일차운동피질과 전운 동피질영역에서 시작하여 적핵으로 연결된다. 피질전정척수로 는 대뇌피질에서 양측으로 투사되나 주로 반대쪽의 외측전정핵 ( lateral vestibular nucleus ) 으로 투사되어, 운동 중에 머리의 위치를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. 피질척수로가 손상되면 해당되는 사지의 근력이 감소하 거나 소실되어 마비가 발생한다. 피질척수로는 연수의 피라미 드를 제외한 부위에서는 다른 하행운동로 ( descending motor pathway ) 와 가까이 주행하기 때문에 사람에서 피질척수로만 따로 손상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. 예를 들어 속섬유막에 문제 가 생기면 피질척수로뿐만 아니라 피질줄무늬체경로 ( cortico striatal pathway ), 피질적핵경로 ( corticorubral pathway ), 피 질망상경로 ( corticoreticular pathway ), 피질시상경로 ( cortico - thalamic pathway ) 같은 다른 하행운동로가 함께 손상된다. 이 때 관찰되는 증상은 이환된 신체부위에 마비가 오고 신장반사 ( stretch reflex ) 가 증가되며 경직 ( spasticity ) 이 나타난다. 검사 자가 경직이 있는 팔다리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수동적으로 잡 아당기면 가해진 힘에 비례하는 저항이 관찰되다가 일정한 한 도를 넘으면 저항이 갑자기 사라지는 접는칼 ( clasp - - knife ) 현상 도 관찰된다. 또한 바빈스키징후, 발목클로누스 ( ankle clonus ) 가 관찰되고 표재반사 ( superficial reflex ) 가 소실된다. 이러한 징후들을 상위운동신경세포 ( upper motor neuron ) 징후라고 부른다. 경직은 척수의 알파운동신경세포를 억제하는 하행운동 신경로의 작용이 소실됨에 따라 알파운동신경세포의 비정상적 인 홍분이 유발되어 나타난다고 추측하고 있다. 동물실험에서 피라미드에 국한된 손상을 만들어 피질척수로만 단절시키면 팔 다리의 먼쪽, 특히 손가락의 근력은 감소하지만 경직 ( spastic - ity ) 은 유발되지 않으나 피질척수로 외에 다른 하행운동신경로 도 같이 손상시킨 경우는 경직이 나타난다. 특히 등쪽망상척수 로 ( dorsal reticulospinal tract ) 와 내측망상척수로, 전정척수로 ( vestibulospinal tract ) 의 손상이 경직의 발생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.
반응형

+ Recent posts